-
맥주에 대해
독일맥주순수령의 두가지 설
독일맥주 순수령1516년, 맥주 품질을 안정시키려고 바이에른 공작 빌헬름 4세가 '맥주 원료는 보리 맥아와 홉과 물만으로 만들라'는 맥주순수령을 정했다. 1556년에 효모를 추가해 맥주 품질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했다. 맥주순수령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품질 보증 법률이다. 오늘날, 독일 국내에서는 원칙적으로 순수령을 고수한다. 식량(빵) 확보설독일 맥주가 맛있는 이유는 맥주가 신선하고 순수하기 때문이다. 1516년 바이에른 지역의 빌헬름 4세는 맥주의 재료를 4가지로 제한하는 법령을 발포했다. 사실, 이 법은 원래 독일의 주식인 빵의 주재료인 밀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진 법령이다.500년 전에는 밀로 맥주를 빚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었는데, 이 때문에 실제로 빵을 만드는 밀이 부족했던 것이다. ..
-
맥주에 대해
트라피스트 맥주에 대해
Trappist가톨릭 수도사의 맥주트라피스트맥주는 가톨릭의 한 분파인 트라피스트 수도회에서 제조한 애비에일(Abbey Ale)입니다.현재 정식으로 인정받고 유통되는 트라피스트는 총 11종이죠. 아헬, 시메이, 엥겔스첼, 라 트라페, 오르발, 스펜서, 로슈포르, 트레 폰타네, 베스트말러, 베스트플레이터런, 쥔더르트입니다. 트라피스트는 본래 역사적으로 사순절과 같은 단식기간 및 수도 생활 중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거나 또는 수도원을 방문하는 순례자들에게 접대 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또한 술 양조의 높은 노동 강도 때문에 수도 생활의 일환으로 인정되었죠. 포도주는 영성체 중 성혈로, 맥주는 액체 빵으로서 한 잔을 한 끼의 식사로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수도원에서 만들어 마셨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
-
맥주에 대해
맥주 IPA에 대해
인디아 페일 에일은 보통 줄여서 IPA라고 부르는데 이 스타일의 탄생에 대한 역사가 재미있습니다. 18세기 ~ 19세기 대항해시대 때 영국은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는 별칭을 갖고 있었는데 전 세계 곳곳에 식민지가 있어 그러한 별칭을 얻었죠. 세계 각지의 영국인들은 고향에서 마시던 맥주를 당연히 그리워 했을 것이고, 당연히 돈을 벌고 싶은 사람은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려 했을 겁니다. 하지만 냉장기술이나 보관 기술이 취약했던 당시에 장거리의 항해로 받는 스트레스는 맥주를 곧잘 상하게 했습니다. 특히 인도로 맥주를 보낼 때는 아프리카를 돌아서 가야 하기에 적도를 2번 지나쳐야 했는데 그 뜨거운 온도와 수개월에 걸친 항해를 견디지 못했습니다. 이에 대한 고민으로 만들어 진 것이 바로 IPA입니다. 홉은 매력적..
갤러리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4건을 노출합니다.